하루 글쓰기26 2023.01.23 / 17. 이제 없으면 안되는 것. 이제 핸드폰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그만큼 핸드폰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가 많아졌고, 이유 없이도 많이 쓴다. 매주 일요일마다 핸드폰에서 사용시간을 얘기해 주는데 저번주 보다 1시간 30분 더 사용했다는 메시지가 뜬다. 집에서도 꼭 핸드폰을 들고 다닌다. 화장실을 갈 때도... 생각보다 유용하게 쓰이는 경우도 있지만 지금은 그 경우를 넘어서도 있다 예를 들면... 숏츠영상, 인스타영상을 그냥 의미 없이 계속 보고 있다. 그만 봐야지 생각하면서도 핸드폰 화면을 닫기까지 오래 걸린다. 특히 나는 집을 나갈 때, 핸드폰이 꼭 필요하다. 서울 가야 하는 일이 많고, 버스시간, 전철시간 때문에 꼭 있어야 한다. 한번 이런 일도 있었다. 종로 5 가쪽 도서관에서 공연이 있었다. 그 도서관에 가본 적은 없지만.. 2023. 1. 22. 2023.01.17 / 13. 나에게 돈이란 배우로서 살아간 지 10년 차가 되었다. 22살부터 지금은 32살이다. 내 삶에는 여러 변화들이 있었고, 작년부터 크게 느끼기 시작했다. 이제 배우일을 하면서 살 수 있겠구나. 그런데 예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변하지 않은 게 있다. 바로 경제적인 상황이다. 물론 10년 전에 비하면 많이 좋아졌다고 할 수 있다. 그만큼 일도 많으니까. 하지만 여유롭냐?라고 묻는다면... 아니다. 간신히 한 달 한 달 살고 있다. 극단을 나온 2018년부터 지금까지 어떻게 하면 경제적인 자유를 얻을 수 있을까 고민하고, 또 이것저것 해봤다. -엽사제작, 판매 -쿠팡알바 -빈백소파판매 -호떡알바 -블로그리뷰작성 -티스토리 글쓰기 -액세서리 제작, 판매 문제는 부수입이다 보니, 공연을 준비할 때 일이 밀려나는 것이다. 여차저차 .. 2023. 1. 17. 2023.01.16 / 12. 사람들에게 주고 받는것. 상처. 2013년 처음 단체생활을 하면서 '내가 이렇게 문제 있는 사람인가?' 생각했다. 물론 내가 22살이었기 때문에 철이 없기도 했고, 딱히 겁도 없었던 거 같다. 그리고 말을 잘 못했다. 그때 단체생활의 환경을 그랬다. 1. 24시간 붙어있다. 2. 의견을 제시해야 한다. 3. 같이해야 한다. 4. 선후배가 존재한다. 5. 지시자가 있다. 6. 고된 작업이 쌓여있다. 일도 많고, 사람도 많고... 아마 이게 문제였던 거 같다. 일은 많은데 사람이 많다 보니, 다수가 의견을 내는 거보다 소수의 사람(선배)이 결정하는 게 빨랐고, 하나의 일을 그럭저럭 해놓고, 다른 일을 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이때 나의 문제는 그냥 시키는 대로 하면 되는데, 나는 그게 힘들었다. 조금 다른 생각이 들면, 의견제시를 했.. 2023. 1. 16. 2023.01.15 / 11. 그때의 기억 그때의 내 반응은 어떻게 위로해야 할지 몰라서 슬쩍 자리를 피하거나 함께 슬퍼해주는 거였다. 물론 나도 슬펐다. 가족의 죽음은 내가 생각하는 이상이고, 나도 경험했으니까. 엄마의 눈물과 아빠의 위로를 그때 처음 보았다. 준비된 죽음은 없지만, 이렇게 갑자기 겪는 가족의 죽음은 더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 지금 생각해 보면 '그냥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좋겠다'에서 끝나는 거 같다. 그것을 피해 갈 수 없는데도... 그 이후에 죽음에 대해, 장례식에 대해 궁금한 생각이 많이 들었다. 어떻게 하면 죽음을 잘 받아들일 수 있을까? 장례식은 왜 어두울까? 그것이 돌아가신 분과 남아있는 분들에게 좋은 걸까? 그 당시 한참 책을 들여다봤다. 지금도 여전히 남아있는 과제다. 뉴스를 통해 접하는 다른 사람들의.. 2023. 1. 15. 이전 1 ··· 3 4 5 6 7 다음